온실가스(GHG, Greenhouse Gases) 배출량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은 탄소 중립 목표 달성, 배출권거래제(ETS) 운영,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보고 등을 위해 필수적이다.
1.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개요
온실가스 배출량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본 공식으로 산정된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온실가스 회계 및 보고 표준(GHG Protocol, IPCC Guidelines 등)을 기반으로 한다.
배출량 = 활동자료(Activity Data) × 배출계수(Emission Factor)
- 활동자료 (Activity Data): 연료 사용량(ℓ, kg, GJ), 전력 소비량(kWh), 생산량(ton) 등
- 배출계수 (Emission Factor): 특정 연료나 활동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kg CO₂e/단위)
온실가스 배출량 단위
gCO₂e (그램 이산화탄소 환산량)
kgCO₂e (킬로그램 이산화탄소 환산량)
tCO₂e (톤 이산화탄소 환산량)
MtCO₂e (메가톤, 백만 톤 이산화탄소 환산량)
GtCO₂e (기가톤, 10억 톤 이산화탄소 환산량)
✔ 1 MtCO₂e = 1,000,000 tCO₂e = 1,000,000,000 kgCO₂e
2. 온실가스 배출원의 구분 (Scope 1, 2, 3)
온실가스 배출량은 직접배출(Scope 1), 간접배출(Scope 2), 기타 간접배출(Scope 3)로 나뉜다.
📌 Scope 1 (직접 배출)
- 기업이 직접 연료를 연소하거나 공정을 통해 배출하는 온실가스
- 예시
- 사업장에서의 연료 연소(보일러, 발전기, 공장)
- 차량 연료 사용(법인 차량, 항공기, 선박)
-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CO₂, CH₄, N₂O 등)
💡 산정 예시 (보일러 연료 사용 배출량)
배출량 (tCO₂e) = 연료 사용량 (ℓ) × 배출계수 (tCO₂e/ℓ)
📌 Scope 2 (간접 배출 - 전력 사용)
- 기업이 소비하는 전력, 열, 증기 등을 생산할 때 배출된 온실가스
- 예시
- 회사 건물 및 공장의 전력 소비
- 외부에서 공급받은 열/증기 사용
💡 산정 예시 (전력 소비 배출량)
배출량 (tCO₂e) = 전력 사용량 (kWh) × 배출계수 (tCO₂e/kWh)
📌 국가별 배출계수 참고 필요 (한국: 약 0.4 kgCO₂e/kWh)
📌 Scope 3 (기타 간접 배출)
- 기업이 직접 통제할 수 없는 활동에서 발생하는 배출
- 공급망(Supply Chain)과 관련된 배출량 포함
- 예시
- 출퇴근 및 출장(직원의 교통수단)
- 원재료 생산(공급업체의 배출량)
- 제품 사용(소비자가 제품 사용 시 배출되는 온실가스)
- 폐기물 처리(매립, 소각)
💡 산정 예시 (직원 출장 항공기 배출량)
배출량 = 이동 거리 (km) × 배출계수 (kgCO₂e/km)
📌 항공사, 철도 등 교통수단별 배출계수 사용 필요
3. 배출량 산정 방법
① 연료 연소 배출량 산정 (Scope 1)
배출량 (tCO₂e) = 연료 사용량 × 배출계수
✅ 예시: 경유 사용량 10,000 ℓ, 배출계수 2.68 kgCO₂e/ℓ
➡ 10,000 ℓ × 2.68 kgCO₂e/ℓ = 26.8 tCO₂e
② 전력 사용 배출량 산정 (Scope 2)
배출량 (tCO₂e)=전력 사용량×국가별 배출계수
✅ 예시: 전력 사용량 1,000,000 kWh, 한국 배출계수 0.4 kgCO₂e/kWh
➡ 1,000,000 × 0.4 kgCO₂e/kWh = 400 tCO₂e
③ 제품 수명 주기 배출량 (Scope 3)
총 배출량 = ∑(각 단계별 배출량)
✅ 예시 (자동차 제조업체의 Scope 3 배출량)
- 원재료 생산 (철강, 알루미늄 등) → 500,000 tCO₂e
- 부품 조달 및 운송 → 100,000 tCO₂e
- 자동차 사용(연료 소비) → 5,000,000 tCO₂e
- 폐기 및 재활용 → 200,000 tCO₂e
➡ 총 배출량 = 5,800,000 tCO₂e
4. 배출량 산정 기준 및 보고 프레임워크
- GHG Protocol (온실가스 회계 및 보고 기준)
- IPCC Guidelines (국제적으로 인정된 배출계수 활용)
- ISO 14064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검증 기준)
-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National Inventory Report, NIR)
5. 배출량 감축 전략
✔ 에너지 효율 개선 (고효율 장비 도입, 스마트 그리드 활용)
✔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태양광, 풍력 등)
✔ 공급망 관리 강화 (친환경 원재료 사용, 물류 최적화)
✔ 배출권거래제 (ETS) 참여 (탄소배출권 구매 또는 감축)
✔ CCUS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