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저탄소

배출권거래제(ETS) 개념과 원리 ETS(배출권거래제)는 정부가 기업들에게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배출권, allowances)을 부여하고, 기업들이 이를 초과하여 배출하거나 절감한 배출권을 시장에서 사고팔 수 있도록 허용하는 시장 기반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다. ETS는 기업이 비용 효율적으로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환경 규제와 시장 경제 원리를 결합한 대표적인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 꼽힌다.1. ETS의 기본 원리: "Cap & Trade" 시스템ETS는 Cap(총량 제한)과 Trade(거래)라는 두 가지 핵심 원리를 기반으로 운영된다.① Cap (총량 제한) - 배출 상한 설정정부는 국가 또는 산업별로 일정한 온실가스 배출 상한(총 허용 배출량)을 설정한다.이 상한선(Cap) 내에서만 온실가스 배출이 가능하며, 시간이 .. 더보기
온실가스 MRV란?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과 검증 온실가스 MRV(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는 온실가스(GHG) 배출량을 측정하고 보고하며 검증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탄소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업, 정부, 국제 기구 등이 배출량을 관리하고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과정이다. 특히 최근 저탄소 무역장벽 확대에 따라 수출기업과 글로벌 기업 협력사에 대한 탄소배출 측정과 검증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전까지는 '기업 단위' 탄소배출량 위주로 국제표준이 형성되어 왔으나, 최근 제품 단위 전과정 탄소배출량을 지표로 하여 제품의 전 생애주기의 온실가스 배출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강화되는 추세이다.  1. 온실가스 MRV란?MRV는 "측정(Measur.. 더보기
당신의 식재료, 탄소를 얼마나 배출하고 있나 탄소배출이 높은 식단: 어떤 음식이 환경에 부담을 주는가?음식의 생산, 가공,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크게 다를 수 있다. 특히 수입 농산물, 축산물, 에너지 집약적인 곡물 등이 높은 탄소발자국을 남긴다. 탄소배출이 높은 식단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예시를 통해 살펴보자.(1) 남미에서 수입한 아스파라거스아스파라거스는 영양가가 높고 인기 있는 채소지만, 수입산일 경우 탄소발자국이 매우 크다.남미(페루, 멕시코)에서 유럽과 아시아로 수출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항공 운송을 이용한다.항공 운송은 탄소배출량이 가장 높은 운송 방식으로, 아스파라거스 1kg당 약 8.9kg의 CO₂를 배출할 수 있다.반면, 로컬(지역)에서 생산된 제철 채소를 소비하면 탄소발자국을 크게 줄일 수 있다.(2) 소고기: 탄.. 더보기
기후변화 : 정책, 국제협약, 관련 법 1. 기후변화의 역사적 이해 산업혁명 이래 인간 사회는 경제 성장 제일주의의 산업화 과정을 통해 탄소 배출을 누적 해왔다. 산업혁명 이후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는 산업화 이전의 280ppm에서 2005년 기 준 379ppm으로 30% 증가했다. 또한 1960년~2005년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율은 연 간 1.4ppm에 달한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수명연장과 세계인구 증가로 생활폐기물 이 증가하면서 폐기물 분해 과정에서 메탄이 다량 발생했으며, 대규모 축산 및 농업 또 한 온실가스 배출을 가속화했다. 반면 아마존 지역을 비롯하여 무분별한 산림 벌목으로 인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는 감소했다. 1980년 이래 기록적 폭염이 발생하는 빈도가 50배 이상 증가했으며, 1500년부터 지금까 지 유럽에서 여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