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속가능한 소비 분야 산업 동향 1. 리커머스(Re-commerce) 1.1. 재판매‧재사용 문화 확산 자사의 중고 상품을 재판매(Resale)하는 브랜드들이 늘고 있음. 특히 미국에서는 팬데믹 시기 많은 매장이 문을 닫게 되면서 재판매 비즈니스가 증가하고 있음. 국내에서는 소비자 간 중고거래가 활성화되면서 2020년 기준 20조 원 규모로 성장함. 1.2. IKEA의 Buy Back & Resell 소비자가 사용하던 낡은 IKEA 가구를 반납하면 상태에 따라 소비자에게는 크레딧을 제공하 고, 가구는 다시 업그레이드하여 재판매하는 시스템. 가구의 수명을 늘려서 제품 소비로 인한 환경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자는 할인된 가격 으로 재판매 가구를 구입할 수 있음.1.3. 룰루레몬의 Lululemon Like New결함이나 사용감이 적은.. 더보기 지속가능한 소비 유도 정책 : 대한민국 정책 동향 1. 친환경 소비를 인증 및 표시제도 소비자는 녹색제품 구매를 통해 사회적 편익 창출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비용을 절감함. 생산자는 녹색제품 개발 기술력 발전을 통해 환경경쟁력 및 수출경쟁력을 강화함. 정부는 제도 확산을 통해 녹색제품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으며 국민 건강 보호와 안전을 개선할 수 있음.친환경제품에 대한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한 956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2009, 환 경부), 89.1%인 852개 기업의 매출 평균증가율이 20.1%로 나타남. 기업들은 환경표지 인증에 따른 주요 성과로 제품의 환경성 개선(94.5%), 고객과의 관계 개선(93.8%), 기업 이미지 향상(93.7%)을 꼽았음.1.1. 우수재활용제품인증제도 (Good Recycled product, 약칭 ‘GR’)..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