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가별 RE100 이행 전략 비교 : 미국, 유럽연합, 일본, 한국, 중국

반응형

국가별 RE100 이행 전략을 비교했습니다. 각국 정부와 기업이 재생에너지를 어떻게 확대하고, RE100 이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어떻게 마련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한국, 중국을 비교합니다.

 


 

🌐 국가별 RE100 이행 전략 비교


구분 미국 EU 일본 한국 중국
RE100 참여 기업 수 90+ (Google, Apple, Amazon 등) 100+ (Nestlé, IKEA 등) 80+ (Sony, Panasonic 등) 30+ (삼성, SK, LG 등) 소수 (Tencent 등)
전력시장 구조 민간 중심, 분산형 국가별 다양, 대부분 개방형 자유화 진행 중 공기업 독점 (한전) 국영 중심
PPA (전력구매계약) 활발 (기업 간 직거래 가능) 매우 활발 (장기계약 보편화) 2020년부터 가능 (제도 활성화 중) 2021년 도입, 제약 많음 제한적, 제도 미비
재생에너지 비중 약 22% (2023년) 40~60% (국가별 차이) 약 20% 약 8% 약 28%
정부 지원정책 세제혜택, 탄소세, RPS 등 풍부 EU 그린딜, ETS, 보조금 다양 FIT/ FIP, 규제완화 REC, RPS, 녹색요금제 등 강제할당제, 국영계획
주요 방식 PPA, 자가발전, REC PPA, 자가발전, 지역 협동 PPA, FIT/FIP, 자가발전 REC, 녹색요금제 중심 대규모 국영발전소
특징 요약 민간 중심의 시장, RE100 선도 정책·시장 인프라 모두 우수 민간 주도 + 정부 규제 완화 한전 독점 구조로 제약 큼 국가 주도, 공급 중심 확대
 

 

반응형

 


📘 각국 세부 분석

 

🇺🇸 미국

  • 전력시장 개방: 민간 사업자 간 자유로운 거래(PPA 가능)
  • 정책지원: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해 재생에너지 투자에 세액공제 제공
  • 기업행동:
    • Google, Apple, Amazon 모두 자체 발전소+PPA 병행
    • 데이터센터 중심으로 RE100 달성

🇪🇺 유럽연합

  • 정책 주도적:
    • EU 그린딜로 탄소중립 목표
    • EU ETS(탄소배출권거래제), RE100 연계
  • 시장 인프라 우수:
    •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등은 50% 이상 재생에너지 비중
    • 기업이 장기 PPA를 통해 안정적으로 전력 확보
  • 지역 특화 모델: 지역 커뮤니티 발전소와 기업 간 협력 활발

 


🇯🇵 일본

  • 시장 구조: 2000년대 이후 전력시장 자유화 진행
  • 정책:
    • FIT(고정가격매입제도)와 FIP(차액지원제도) 병행
    • PPA 제도화(2020년부터)
  • 장애 요인:
    • 고비용, 그리드 안정성 문제
    • 그러나 도요타, 소니 등 대기업이 RE100 추진 중

🇰🇷 한국

  • 전력시장: 한전 독점, 민간 발전자 자유 부족
  • 정부 제도:
    • PPA 제도 도입(2021년), 다만 허가·조건 복잡
    •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녹색요금제 활용 가능
  • 문제점:
    • 태양광·풍력 입지 규제 많음
    • 전력 단가 규제(값싼 석탄·원전 중심) → 재생에너지 가격경쟁력 부족
  • 진행 현황: 삼성전자·SK·LG 등 대기업 중심으로 확대 중

 


🇨🇳 중국

  • 중앙정부 주도:
    • 5개년 계획에 따라 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
    • 2030년 탄소 정점, 2060년 탄소중립 목표
  • RE100 도입 제한:
    • 전력 자유화 미비 → 기업 자체적으로 RE100 달성 어려움
    • 국가 주도 대규모 발전소 중심 공급 (기업이 직접 선택 어려움)
  • 국영기업 중심: 국가전망그룹(SPG), 중국화전(華電) 등이 발전 주체

🔎 시사점 요약

구분 선도국 도전국 제한국
시장 구조 민간·개방형 일부 개방 국영 독점
PPA 활용 매우 활발 확산 중 미흡
RE100 인프라 안정적 개선 필요 미정비
전환 속도 빠름 중간 느림
기업 주도성 높음 점차 상승 낮음

 


✅ 결론

  • RE100 달성은 기업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며, 각국의 전력시장 구조, 정부 정책, 재생에너지 인프라가 큰 영향을 미칩니다.
  • 미국·유럽은 민간 주도의 탄탄한 시장 기반과 정책 인센티브로 RE100 선도
  • 한국·일본은 법·제도 개편을 통해 점진적으로 전환 중
  • 중국은 국가 주도형 모델로 RE100보다는 탄소중립 국가 전략 중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