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소경제

수전해(PEM·알칼라인·SOEC) 기술 로드맵: 효율–내구–희소금속 트릴레마 1. 서론: “kWh/㎏-H₂”의 시대수전해 산업은 본질적으로 전기를 투입해 화학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 산업이다. 따라서 경제성은 크게 네 가지로 압축된다.효율: 1㎏의 수소를 얻기 위해 얼마나 적은 kWh가 필요한가(AC→H₂ 기준).내구: 해당 성능을 얼마나 오래(시간·사이클) 유지하는가.희소금속·소재 의존도: 성능과 내구를 받쳐주는 촉매·막·분리판의 공급망 리스크.시스템·운영 전략: 전력 가격·가동률·정비 계약 등 TOTEX(총비용) 관점의 최적화.효율을 높이려다 전류밀도를 무리하게 끌어올리면 과전압·열 스트레스로 내구가 떨어지고, 귀금속(예: 이리듐) 사용량을 줄이면 장기 안정성이 흔들린다. 이 상충관계가 바로 트릴레마이다. 2. 원리와 기본 스펙2.1 알칼라인(ALK)원리: 수산화칼륨(KOH) .. 더보기
수소, 수소경제가 왜 화두인가? 수소는 친환경일까? 수소 핵심 정리 수소(Hydrogen)는 원자번호 1번, 우주에서 가장 가벼운 원소. 상온·상압에서는 무색·무취의 기체(H₂)로 존재하고, 물(H₂O)·유기물 등 거의 모든 물질에 널리 들어 있다. 정체: 원자번호 1, 가장 가벼운 원소(기체는 공기보다 약 14배 가벼움)상태: 보통 H₂(이원자 분자), 끓는점 –252.9 °C(액화가 매우 어려움)우주: 별의 주성분(태양은 수소 핵융합으로 에너지 방출)지구: 대부분 물·탄화수소에 결합된 형태로 존재 → “자유 수소”는 드묾 동위원소(같은 수소, 다른 무게)프로튬(¹H): 거의 전부(≈ 99.98%)중수소(²H, D): 소량, 중수(Heavy water)에 들어가 핵·연구에 쓰임삼중수소(³H, T): 방사성, 추적자·핵융합 연구 등 특수 용도 어디에 쓰이나요?화학·산업..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