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친환경자동차 종류 및 작동원리 : 전기자동차는 왜 친환경?

반응형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즉 친환경자동차의 종류를 구분 → 작동원리 → 친환경성 이유 순서로 설명드립니다.

 

 


 

전기차 & 하이브리드차 구분

 

구분 약어 동력 대표모델
배터리 전기차 BEV (Battery Electric Vehicle) 전기 100% 테슬라, 아이오닉 5, EV6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전기+내연기관 쏘렌토 PHEV, BMW 530e
일반 하이브리드 HEV (Hybrid Electric Vehicle) 내연기관+전기 보조 프리우스, 쏘나타 하이브리드
수소연료전지차 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전기 넥쏘, 미라이
 

배터리 전기차 (BEV)

  • 엔진이 아예 없음, 100% 전기구동
  • 대형 배터리에 전기 저장 → 모터로만 주행
  • 충전소에서 전기 충전

장점:

  • 이산화탄소 배출 전혀 없음 (주행 시)
  • 소음, 진동 매우 적음
  • 유지비 저렴 (오일교환 X, 엔진부품 X)

단점:

  • 충전 인프라 필요
  • 겨울철 주행거리 단축 우려

대표 모델:

  • 테슬라 모델3, 모델Y
  • 현대 아이오닉 5, 기아 EV6
  • 벤츠 EQS, BMW iX
  • 르노 조에, 현대 캐스퍼 EV (저속)
  • 테슬라 모델 S Plaid, 포르쉐 타이칸(스포츠카급)
  • 현대 일렉시티, 테슬라 세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 전기도 충전 가능, 연료도 주유 가능
  • 전기로 주행 후 부족하면 엔진 자동 전환

장점:

  • 단거리 출퇴근은 전기만으로 가능
  • 장거리도 주유로 주행 가능 → 주행거리 걱정 적음

단점:

  • 가격 다소 비쌈
  • 두 시스템 모두 관리해야 함

대표 모델:

  • 기아 쏘렌토 PHEV, 기아 니로 PHEV,
  • 현대 싼타페 PHEV
  • BMW 530e, 벤츠 E350e, 볼보 XC90 T8
  • 페라리 SF90, 맥라렌 아르투라
  •  

일반 하이브리드 (HEV)

  • 외부충전 불가능 (전기는 주행 중 자체 생산)
  • 내연기관 중심, 전기는 보조

장점:

  • 연비 우수 (30~50% 연비개선 효과)
  • 충전 걱정 없음
  • 기존 주유소 그대로 사용

단점:

  • 전기차만큼 친환경은 아님 (내연기관 사용)
  • 배터리 크기 작음

대표 모델:

  • 토요타 프리우스, 현대 아이오닉 HEV
  • 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캠리 하이브리드, 그랜저 하이브리드
  • 현대 싼타페 HEV, 기아 스포티지 HEV
  • 렉서스 RX500h, LS500h

수소연료전지차 (FCEV)

  •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전기 생산 → 모터 구동
  • 물만 배출 (H2O)

장점:

  • 주행거리 길고 충전시간 짧음 (3~5분)
  • 배출가스 거의 없음 (물만 배출)

단점:

  • 수소 충전소 부족
  • 수소 저장·운송 기술 복잡

대표 모델:

  • 현대 넥쏘 (도심형 승용 FCEV)
  • 토요타 미라이 (도심형 승용 FCEV)
  • 현대 수소버스

 

Pixabay로부터 입수된 Julius Weidenauer님의 이미지 입니다.

 

친환경적인 이유는?


방식 구분 친환경 이유 한계점
BEV 주행 중 이산화탄소·질소산화물 무배출 배터리 생산과정 온실가스 발생
PHEV 전기 우선주행 → 도심 대기질 개선 내연기관 잔존
HEV 연비 개선 → 이산화탄소 감축 엔진 사용 여전
FCEV 물만 배출 → 대기오염 제로 수소 생산시 에너지 소모
 
  • 내연기관 자동차 (휘발유, 디젤):
    연료연소 → CO₂, NOx, PM2.5 등 다량 배출 → 지구온난화 및 대기오염 원인
  • 전기차:
    모터구동 → 화석연료 불필요 → 이산화탄소 감축
    👉발전소에서 전기 생산 방식도 중요 (재생에너지 사용 시 친환경)
  • 수소차:
    수소 + 산소 → 전기 생산 → 물(H₂O) 생성 → 온실가스 제로

 

반응형

 


 

📌 참고할만한 개념


부가개념 설명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시동/출발 시만 전기보조 (48V 시스템) → 연비 소폭 향상
시리즈 하이브리드 엔진은 발전기 역할만, 바퀴 구동은 전기모터가 전담
병렬 하이브리드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바퀴를 구동 (HEV 대부분 병렬형)
직렬-병렬 혼합형 상황 따라 엔진/모터 역할 자동변환 → 토요타 하이브리드 방식

 


 

정리하면,


 

구분 친환경성 주행비용 실용성
BEV 🌟 (친환경 전기일 때 최강) 매우 저렴 충전소 필요
PHEV 🌟 저렴 장거리 안정성
HEV 🌟 저렴 기존 주유소 사용
FCEV 🌟🌟 저렴 수소충전소 제한

 

  • 초보 친환경 입문: → 하이브리드 (HEV)
  • 가장 친환경 지향: → 배터리 전기차 (BEV)
  • 장거리, 도심 통근 최적: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 궁극의 친환경: → 수소연료전지차 (FCEV)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