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을 위한 기업 실행가이드

반응형

Pixabay로부터 입수된 grunzibaer님의 이미지 입니다.

 

 

 

단계별 실행 가이드

 

1단계: 대상 품목 및 공급망 전수 확인

  • CBAM 1차 적용 품목: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전력, 비료, 수소 (확장 가능성↑) 
  • 세부 매핑: HS 코드별 EU 수출 실적, 1·2·3차 협력사 구조, 직·간접 탄소배출 가능 구간 분석

2단계: ESG 데이터 수집 및 국제 규정 정렬

  • ISO 14067, GHG Protocol, GLEC Framework, ISO 14083 등 신뢰 표준 도입 
  • 재고·원자재·원료 투입 등 가치사슬 항목별 배출량 기록

3단계: AI·IoT·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도입

  • AI 분석: 배출 예측·이상 관리
  • IoT 센서: 실시간 설비 기반 배출 모니터링
  • 블록체인: 공급망 추적·데이터 무결성 확보

4단계: LCA 산정 및 제품별 탄소발자국 설계

  • 제품 단위 LCA 체계 구축: 원료→제조→운송→사용·폐기
  • CFP(Product Carbon Footprint) 수립으로 탄소 프리미엄 창출

5단계: 제3자 검증 준비 및 인증기관 선정

  • 전환기간: 보고만 의무, 검증은 자유 
  • 2026년 본시행부터: ISO·EU MRV 방식 일치 검증 의무 및 승인 신고인 자격 확보
  • 인증기관 예시: LRQA, Tiffany & Co., Peterson, PwC, Deloitte 등

6단계: 분기별 리포팅 및 관리

  • EU 등록 플렛폼에 분기별 CBAM 보고서 제출(분기 후 1개월 이내) 
  • 수입업체 연대 리포트 제출, 인증서 구매 시스템과 연결

7단계: 인증서 구매 예산 및 자금 방안 설계

  • CO₂톤 × EU ETS 가격 기준 시나리오 예산 수립
  • 국내 K‑ETS 인정 여부에 따른 공제 방안·협의체 구성 

8단계: 공급망 탈탄소 전환 전략

  • 저탄소 원자재 구매, 재생에너지 전환, 폐열 회수 설비 투자
  • 빗물 줄이기 프로젝트, 수소환원제철 등 전략적 제품 다변화

 


국내 도입 사례

 

 

A. 현대자동차·기아 – IGIS 구축

  • 글로벌 탄소 데이터 집약·블록체인 보안 ⟶ CBAM 기준 전 차종 구성

B. 현대제철 – CFP & 저탄소강판

  • 탄소 20% 감소 강판 양산 & Life-Cycle Carbon Footprint 시스템 도입

C. 포스코·포스코퓨처엠 – 수소환원·배터리 소재

  • 수소환원제철로의 전환, 배터리 소재 시장 대응 (NCMA 양극재 등)

D. SK C&C – 디지털 탄소 여권

  • ISO 표준 기반 플랫폼 → 공급망 CBAM 리포트 자동화, 글로벌 인증까지 포괄

E. LG화학·SK이노베이션·삼성SDI – RE100, 스코프3 대응

  • 대체 에너지 공급, 스코프3 산출 협의체 구성 & 전과정 데이터 수집 시작

 


 

제3자 검증 방식 비교

 

항목 전환기간 본시행
검증 의무 없음, 자체 또는 내부자료 제출 권장 제3자 검증 필수, EU MRV 기준 충족 (Auditor 승인 필요)
검증자 자격 자유 선택 가능 EU 승인된 선언자(승인 신고인) 및 검증기관만 가능
검증 범위 기본 보고서 형태 공정문서, 설비 실사, 계산 프로토콜 등 전면 검증
비용 상대적 낮음 계산 상당, 검증 업체 의존도 높음
선택 가능 기관 LRQA, KOTRA 컨설팅 등 다양 PwC, Deloitte, Peterson, Lloyd’s Register, SGS 등 인증기관 지정
 
 

 

종합적 평가 및 맞춤형 활용 전략

 

 

  1. 전환기간 적극 활용
    • 초기 CBAM 보고 시스템 테스트, 오류 수정 절차 실행
  2. AFTER-PROOF 데이터 구축
    • 내부 검증, 시뮬레이션, 소규모 협력사 테스트 병행
  3. 인증기관 초기 샘플 검증
    • 하나 이상의 품목을 대상으로 사전 MMD(메서드). 검증 테스트 진행
  4. 본시행 대비 인자별 예산 설계
    • 인증 수수료, 검증 비용, 인증서 구매 금액 포함한 연간 예산 확보
  5. 공급망 정조준
    • 고탄소 협력사는 교체, 저탄소 원자재 우선 선별
  6. 글로벌 정책 대응
    • WTO 대비협의, 타국 CBAM 규제(미국 FPF, 영국 UK-CBAM) 대비
  7. 교육체계 및 조직 정비
    • ESG팀 내 CBAM 전사 대응 조정 요원 배치
    • 구매·R&D·법무·회계 부서와 협력 채널 가동
  8. 중소기업 대상 지원 프로그램 구성
    • 플랫폼 공유, 공통 인증센터 도입, 정부·민간 매칭 지원 

 

반응형

 

 

 

CBAM 대응은 곧 기회다

 

  • CBAM은 탄소비용 → 글로벌 시장 경쟁력 기준으로 진화
  • 실무 중심 전략: 단계적 준비 → 검증 체제 → 비용 설계 → 실행 기반 확보
  • 협력사 중심 모델이 중소기업까지 유입될 경우, 산업 전 영역에서 탈탄소 경쟁력 급부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