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E100 이란? 정의, 필요성, 주요 가입 기업 현황, 한국 상황 등 정리

반응형

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겠다는 글로벌 이니셔티브(initiative)입니다. 2014년 영국의 비영리 기구인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이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와 함께 주도하여 출범시킨 캠페인입니다.


📌 RE100 개념 

정의 기업이 소비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가능 에너지로 조달하겠다는 자발적 약속
주관 The Climate Group & CDP
출범 시기 2014년
목표 연도 대부분 기업이 2030년까지 100% 달성 목표
가입 조건 연간 전력 소비량 100GWh 이상인 다국적 기업 등
 

왜 RE100이 중요한가요?

  1. 기후 위기 대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글로벌 공동 노력입니다. 에너지 소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기업들이 전력 소비원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면 기후변화 대응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기업 지속가능성 강화 (ESG)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가 기업 평가의 핵심 요소가 되면서, RE100 참여는 기업의 친환경 경영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3. 투자 유치 및 이미지 개선
    친환경 전략은 투자자 및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주요 가입 기업

  • Google, Apple, Facebook, Microsoft, IKEA, Unilever, BMW,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 2025년, 글로벌 기준 400개 이상 기업이 참여 중

기업이 재생에너지 100%를 조달하는 방식

자가 발전 기업이 직접 태양광, 풍력 발전 설비를 설치해 사용
PPA(전력구매계약)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직접 계약을 맺고 전력을 장기 구매
녹색요금제 전력회사에서 재생에너지로 공급되는 전기를 구입
REC 구매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를 구입하여 간접적으로 재생에너지 사용을 인증받음

 


한국의 상황은?

한국 기업들도 RE100에 참여하고 있지만, 제도적 한계가 존재합니다:

  • 전력시장이 공공 중심(한전 독점)이라 자유로운 PPA가 어려움
  • 태양광·풍력 인프라 및 입지 제약
  • REC, 녹색요금제 등 우회적 방식에 의존

그러나 정부도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책 도입을 확대 중입니다.


RE100이 향후 미칠 영향

  • 기업 간 공급망 압박 증가: 글로벌 대기업들이 협력사에도 RE100 참여를 요구할 가능성 높음
  •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민간 발전사업 활성화
  • 정책 변화 촉진: 전력시장 개방, 친환경 에너지 전환 속도 가속화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기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글로벌 약속입니다.
기업의 ESG 경영과 기후 대응 전략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사용 방식(PPA, REC, 녹색요금제 등)을 통해 실현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