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100에 참여한 주요 글로벌 및 국내 기업들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각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재생에너지를 조달하고 있으며, 어떤 전략과 성과를 냈는지 정리해봤습니다.
글로벌 기업 사례
1. Apple
- RE100 가입 시점: 2016년
- 목표 달성 시점: 2018년 (전 세계 100% 재생에너지 전환 완료)
- 방식:
- 자가 태양광·풍력 발전소 구축 (캘리포니아, 중국, 덴마크 등)
- 공급망까지 확대: 협력업체에도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
- 성과:
- 2023년 기준, 250개 이상의 협력사가 Apple 공급망 내에서 RE100 전환 중
2. Google (Alphabet)
- RE100 가입 시점: 2016년
- 달성 시점: 2017년 (연간 소비 전력량 만큼 재생에너지 구매)
- 방식:
- PPA를 적극 활용 (풍력/태양광 발전소와 장기 계약)
- AI 기반 에너지 효율화 시스템 적용
- 비전:
- 2030년까지 모든 시간대에 100% 무탄소 전력(CFE, Carbon-Free Energy) 사용을 목표
3. IKEA
- RE100 가입 시점: 2014년
- 재생에너지 전략:
- 직접적인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500개 이상의 풍력 터빈과 1백만 개 이상의 태양광 패널 설치
- 매장에 태양광 설치 후 잉여 전력을 인근 커뮤니티에 공급
- 성과:
- IKEA 그룹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 이상을 자체 재생에너지로 생산 가능
4. Microsoft
- RE100 가입 시점: 2016년
- 특이점:
- 2030년까지 탄소 네거티브(carbon negative) 목표 선언
- 2050년까지 역사적 탄소 배출량까지 제거하겠다는 계획
- 방식:
- 데이터센터 중심의 태양광·풍력 직접 조달
-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혁신적인 PPA 체결
반응형
국내 기업 사례
1. 삼성전자
- RE100 가입 시점: 2022년 9월
- 목표 연도: 205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
- 우선 달성 지역: 미국, 유럽, 중국 사업장 (2027년 이전 달성 목표)
- 전략:
- 태양광 발전소 구축
- PPA 및 REC 구매 확대
- 에너지 절감 기술 투자 (고효율 생산설비 등)
2. SK하이닉스
- RE100 가입 시점: 2021년
- 목표 연도: 2050년
- 전략:
- 외부 발전사업자와 장기 PPA 체결
- 반도체 공장 전력 대부분을 재생에너지로 조달 계획
- 성과:
- 2022년 기준 일부 공장은 100% 재생에너지 운영 중
3. LG에너지솔루션
- RE100 가입 시점: 2021년
- 목표 연도: 2030년
- 핵심:
- 전기차 배터리 생산 공장의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
- 북미/유럽 공장부터 녹색요금제, PPA 활용 중
4. 포스코그룹
- RE100 준비 중
- 제약 요인:
- 철강산업 특성상 고에너지 공정 → 즉각적인 전환 어려움
- 그러나 수소환원제철 기술 도입과 함께 장기 목표 수립 중
기업별 조달 방식 비교
기업명 | PPA | 자가발전 | REC | 녹색요금제 | 협력사확대 |
Apple | ✅ | ✅ | ❌ | ❌ | ✅ |
✅ | ✅ | ❌ | ❌ | ❌ | |
삼성전자 | ✅ | ✅ | ✅ | ✅ | ✅ |
SK하이닉스 | ✅ | ❌ | ✅ | ✅ | ✅ |
LG에너지솔루션 | ✅ | ❌ | ✅ | ✅ | ✅ |

📌 참고할 만한 포인트
-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재생에너지 전환을 완료했거나 구체적인 중간 목표를 세워 적극 실행 중입니다.
- 국내 기업들은 제도적·기술적 제약을 극복하면서 단계적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많은 기업들이 단순히 ‘자사 사용 전력’뿐 아니라 공급망 전체에 RE100 참여를 요구하고 있어, 중소 협력사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