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V2V

전기자동차 운전자 유형별 V2G 수용성 분석 출퇴근(운행) 패턴별 V2G 수용성을 사용자 관점에서 정리하였음. 아래 수치는 이해를 돕기 위한 보수적 예시 가정임(배터리 60kWh usable, 저녁 사전충전 80~90%, 최소 보장 SOC 55~70%, 피크 시간대 18~22시 중심 운영).1) 핵심 가정과 산식이론상 방전 가능 에너지(kWh) ≈ 배터리용량 × (사전충전 목표SOC − 최소 보장SOC).예) 60kWh, 80%→60% 방전: 60×(0.80−0.60)=12kWh/일.저이용자에 한해 90%→55% 방전: 60×(0.90−0.55)=21kWh/일.실제 운용은 안전여유, 시장신호, 사용자 취소 등으로 이론치의 30~70% 수준이 되는 경향이 큼.2) 패턴별 수용성 분석A. 규칙적 출퇴근형(09–18시 근무, 주 4–5일, 30±10km.. 더보기
전기자동차 V2G 사용자의 주요 장벽, 수용성 높이기 위한 V2G 설계 전기차 V2G(vehicle-to-grid) 수용성을 사용자 관점에서 정리했다. 핵심은 “차량 활용 자유도(유연성)·배터리 수명·보상/요금 이해도·신뢰/통제감” 네 축을 어떻게 설계로 풀어주느냐이다. 최근 연구·실증에서 드러난 사용자 인식과 수치도 함께 적시한다. 1) 사용자가 느끼는 주요 장벽A. 유연성(차를 언제든 쓸 수 있는 자유) 상실 우려가장 큰 장벽은 “원할 때 차를 못 쓸지 모른다”는 걱정이다. 2025년 대규모 설문에서 유연성 손실이 1순위(55%), 그다음이 배터리(27%), 데이터/프라이버시(18%)로 나타났다. B. 배터리 열화·보증 걱정“충방전 순환이 수명을 깎지 않나?”는 심리적·기술적 불안이 상존한다. 최신 모델링/실증은 운영 전략에 따라 추가 열화가 경미하거나, 오히려 컨디.. 더보기
전기자동차 확산이 국가 전력망과 에너지 안보에 미치는 영향 전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의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실현, 석유 의존도 감소라는 시대적 요구가 맞물리면서 EV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국가 에너지 시스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EV 확산은 긍정적 효과와 함께 새로운 도전 과제도 가져온다. 특히 국가 전력망 운영 안정성과 에너지 안보는 EV 대중화와 밀접히 연결된 핵심 주제이다. 본 글에서는 EV 확산이 전력망과 에너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스마트 충전 및 분산에너지 자원 관리 기술의 역할, 그리고 한국·일본·독일의 정책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1. 전기차 충전으로 인한 피크전력 수요 증가 문제EV 보급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충전 수요가 특정 시간.. 더보기
분산에너지 자원으로서의 전기자동차 : V2G, V2H, V2B, V2V, V2L 집중탐구 전기자동차(EV)의 핵심은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이며, 이를 단순히 차량 구동뿐 아니라 에너지 네트워크의 중요한 분산 에너지 자원(Distributed Energy Resource, DER)으로 활용하는 개념이 발전하고 있다. 이를 총칭해 Vehicle-to-Everything(V2X)이라 하며, 대표적으로 V2G(Vehicle-to-Grid), V2V(Vehicle-to-Vehicle), V2L(Vehicle-to-Load) 등 다양한 응용 방식이 있다. 각각의 개념과 기술적 기반, 실제 활용 사례를 설명하겠다. V2G (Vehicle to Grid) : 전력망으로 전기차 배터리 전력을 공급V2H (Vehicle to Home) : 가정 전력 공급원으로 활용V2B (Vehicle to Building)..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