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럽연합

RE100 개념, PPA, 녹색요금제, REC 개념 정리 RE100, PPA, 녹색요금제, REC 등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기업의 탄소중립 전략에서 핵심이 되는 개념이다. RE100 (Renewable Energy 100%) ▣ 개념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의 줄임말로,전 세계 기업들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글로벌 캠페인이다.2014년 영국 NGO The Climate Group과 CDP가 주도해 시작됨.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이케아 등 글로벌 대기업들이 참여 중이며, 한국 기업도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등이 참여하고 있음. ▣ RE100 이행 방법방식설명PPA (전력구매계약)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직접 계약을 맺고 전력을 구매녹색요금제한전이 판매하는 재생에너지 전력을 프리미엄 요금으로 구매R.. 더보기
유럽연합 EU 정의로운 전환기금 유럽 그린딜 알아보기 유럽연합(EU)의 정의로운 전환 기금(Just Transition Fund, JTF)은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취약 지역과 산업 종사자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의 핵심 정책 중 하나이다. 아래에 그 배경, 목적, 재원, 지원 대상, 구체적 사용처 등을 정리했다.정의로운 전환 기금 이란?🔹 목적기후중립(Net Zero)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사회적, 지역적 격차를 최소화.화석연료 산업(석탄, 갈탄, 석유 정제 등)에 의존해온 지역이 경제적 충격 없이 녹색 경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전환 과정에서 일자리 상실, 소득 감소 등의 부작용을 겪을 수 있는 노동자, 기업, 지역사회 보호.재원 규모총 규모약 550억 유로 (2021.. 더보기
한국의 순환경제 정책과 과제: 일본·유럽 사례와 비교 기후위기와 자원 고갈의 시대에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한국은 2010년대 후반부터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천명하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실질적 성과와 지속가능성 면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다는 지적도 있다. 본 글에서는 한국의 순환경제 정책을 살펴보고, 일본과 유럽의 사례를 비교하면서 향후 개선과제를 짚어본다. 대한민국 순환경제 정책 (1) 자원순환기본법2018년 시행된 「자원순환기본법」은 한국에서 순환경제 관련 정책의 기틀을 마련한 법이다. 이 법은 '폐기물'을 '순환자원'으로 인식하고, 제품 설계부터 생산, 유통, 소비,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자원 효율을 높이도록 규정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순환자원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