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속가능경영

RE100 시작하기 : RE100 국제 가이드라인 및 한국형 RE100 RE100 국제 가이드라인(Global Criteria)과 한국형 RE100 적용 제도를 항목별로 비교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기준이 요구하는 내용과, 한국에서 실제 이행 가능한 수단 간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RE100 국제 가이드 vs 한국 제도 항목RE100 국제 가이드라인한국형 RE100 적용제도인정 방식실질적인 재생에너지 사용만 인정REC, 녹색요금제, PPA 등 다양하게 인정전력 흐름 추적성 (추적성)전력의 흐름과 인증서의 일치 필요 (시간·장소 기준 있음)REC는 실사용과 무관한 ‘인증’ 중심, PPA 일부 추적 가능인정되는 자원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지열 등 (무탄소 전력도 일부 인정)태양광, 풍력 위주 (수력 일부 제한, 원자력은 불인정)지역성 조건 (지역.. 더보기
RE100 주요 글로벌 기업 및 국내 기업 사례 RE100에 참여한 주요 글로벌 및 국내 기업들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각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재생에너지를 조달하고 있으며, 어떤 전략과 성과를 냈는지 정리해봤습니다. 글로벌 기업 사례 1. AppleRE100 가입 시점: 2016년목표 달성 시점: 2018년 (전 세계 100% 재생에너지 전환 완료)방식:자가 태양광·풍력 발전소 구축 (캘리포니아, 중국, 덴마크 등)공급망까지 확대: 협력업체에도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성과:2023년 기준, 250개 이상의 협력사가 Apple 공급망 내에서 RE100 전환 중2. Google (Alphabet)RE100 가입 시점: 2016년달성 시점: 2017년 (연간 소비 전력량 만큼 재생에너지 구매)방식:PPA를 적극 활용 (풍력/태양광 발전소와 장기 .. 더보기
기업의 탄소세 대응 탄소에 가격을 부과하는 제도는 시장 참여자들이 비용으로 인식함으로써 경쟁시장에서 누릴 것으로 기대되는 비용최소화의 효율성을 탄소배출에서도 유도하는 정책이다. 많은 국가들이 탄소세를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이에 대한 기업의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난다.첫째, 일부 기업들은 탄소세가 기업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방식을 취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에서는 제품 가격을 인상하여 탄소세 부담을 고객에게 분산하는 전략을 사용한다.둘째, 친환경 기술에 적극 투자하여 장기적인 비용 절감을 모색하는 기업들도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도입하고,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셋째, 일부 기.. 더보기

반응형